보이차의 채엽시기에 따른 특징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.
운남지역은 위도가 낮아 차나무가 생장하는 데 이상적인 지역입니다. 봄, 여름, 가을, 겨울 사계절 모두 차가 생산됩니다. 다만 해발, 지형, 차나무의 수령에 따라 차이가 발생합니다.
보이차의 생산량 : 봄->여름->가을->겨울
보이차의 품질 : 봄->가을->여름, 겨울
보이차의 가격 : 봄->가을, 겨울->여름
봄차
1) 채엽시기 : 2월중순 ~ 4월
2) 특징
① 대지차, 소수차
- 어린차나무는 신진대사 능력이 활발한데다 비료와 발아촉진제를 사용하는 곳이 많아 여러차례 채엽이 가능(3~6차례)
- 1차채엽 : 매우 쓰고 떫은맛, 강한자극성, 향기는 날카롭고 진한 청향
- 2차채엽 : 1차보다 강도는 약하지만 여전히 강한 쓴맛, 떫은맛이 난다. 향기는 1차채엽 소수차보다 약해짐
- 3차채엽 : 한결 부드러운 맛, 쓴맛과 떫은맛 많이 줄어듬, 향기도 연해짐
- 4차채엽 : 싱거운 맛이 늘어남, 모차의 색깔은 어두워짐(3~4차 사이에 비가 많이 내림), 생엽에 수분이 많아 가공 어려움, 살청과 건조를 완벽하게 하지 않으면 비린내가 남, 홍건기나 홍방에서 건조하는 경우 많음
② 노수, 고수차
- 3월중순부터 소량으로 생산, 청명 전후 생산량 증가
- 노차수, 고차수는 신진대사 능력이 떨어져 채엽횟수가 줄어듬
- 봄철 채엽횟수는 해발이 높은 지역은 1차례, 해발이 낮은 지역은 2차례까지 가능
- 1차채엽 : 맛이 진함, 탕질이 두텁고 회감과 생진고 강함. 향기는 높고 진한 청향으로 오래 지속됨
- 2차채엽 : 맛이 온화함, 탕질은 두텁고, 회감, 생진이 있음, 향기는 1차 채엽보다 낮지만 여전히 풍만한 청향을 보임
여름차
1) 채엽시기 : 5월~8월
2) 특징
- 해발이 높은 지역은 5월까지도 1차채엽이 끝나지 않은 지역도 있음
- 보통 5월~8월까지 생산된 차를 여름차라고 부름(일부 고해발지역 제외)
- 여름철의 높은 기온때문에 폴리페놀 성분이 높고, 아미노산 함량은 떨어짐
=> 쓰고 떫은 맛이 강함, 감칠맛과 단맛은 부족
① 소수, 대지차
- 2~3차례 채엽 가능
- 주로 일반적인 숙차의 원료로 사용
② 노수, 고수차
- 한번의 채엽만 가능
- 대형 가공장에서 생산되는 고급 생차의 병배원료로 사용
차나무의 분류, 종류_보이트리뷰
차나무의 종류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. 차나무의 종류는 일단 주간과 분지의 형태로 구분해볼 수 있습니다. □ 주간 : 지표면부터 가지가 갈라지기 전까지의 부위, 나무의 몸통, 기둥이라고 생
yourgo.kr
가을차
1) 채엽시기 : 9월~11월
2) 특징
- 가을차의 또다른 이름은 곡화차(穀花茶)로 '벼에 꽃이 필 무렵 나오는 차'라는 뜻임
- 가을차는 봄차에 비해 이파리가 크게 자라는 편이고, 새싹도 통통하고 길쭉함
- 가을철에 비가 적게 내리면 봄차와 비슷한 정도의 품질 생산
- 가격은 봄차에 비해 50~80%로 형성됨(노수/고수차의 가격이 높고 소수/대지차의 가격이 낮음)
① 소수, 대지차
- 대지차는 가을에 2~3차례 채엽가능, 소수차는 2차례만 채엽가능
- 규모가 큰 가공장과 차창에서 숙차의 원료로 사용됨
② 노수, 고수차
- 1회의 채엽만 가능
- 가을 고수차는 운남지역에서 인기가 높음
- 향기와 탕질, 회감은 봄차보다 떨어지지만 쓴맛, 떫은맛은 봄차보다 적고 부드러우며 온화하고 풍만한 느낌이 강함
겨울차
1) 채엽시기 : 12~2월
2) 특징
- 운남 대엽종 차나무는 추위에 약하지만 따뜻한 기온이 유지되는 경우 겨울에도 생장
- 신진대사 능력은 다른 계절에 비해 현저히 떨어짐(맛과 향기를 만들어주는 화학성분의 축적도 적음)
- 겨울차의 찻잎은 작고 백호(잎사귀 뒤 솜털)는 많음
- 맛은 싱겁고 향기는 낮음
- 일부 차창과 유명산지에서는 겨울철 나오는 차를 매우 비싼가격에 팔기도 하지만 사실 품질은 떨어짐
- 겨울철 채엽은 차나무의 성장을 방해하고 나무를 죽게만들기도 함
이상 보이차의 채엽시기에 따른 분류를 정리해봤습니다.
여러분의 보이차 생활에 도움이 되기를 바랍니다.
이상 보이차의 모든 것을 설명해드리는 보이트리뷰였습니다